4시간 자고 생활하는 사람의 비밀, 일반인과 다른 '이것'은?
일상 속에서 잠은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숙면을 잘 취하는지에 따라 하루의 기분이나 컨디션을 좌우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하루 8시간 자고도 피곤한 사람과 4시간만 자고도 멀쩡한 사람이 있습니다. 이는 유전학적으로 사람마다 필요한 수면의 양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유전학적으로 사람마다 필요한 수면의 양이 다르다?
뉴로사이언스 뉴스에 따르면 루이스 프타체크 USCF의대 교수팀은 수면시간이 건강을 담보하는 절대적 기준은 될 수 없다는 말을 했으며, 짧게는 하루 4시간 수면에도 피로감을 느끼지 않는 일명 '수면 엘리트' 유전자가 존재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해당 논문은 지난 15일 셀프레스의 오픈 액세스 저널 '아이사이언스'에 게재된 바 있습니다.
프타체크 교수는 "사람이 하루에 8시간은 자야 한다는 믿음이 있는데 유전학적으로 보면 사람마다 필요한 수면의 양이 다르다."는 것을 확인했으며, "사람마다 키가 다르지만, 어느 정도의 신장이 완벽하다고 할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라는 말을 했습니다.
가족성 선청성 단기 수면 FNSS 특성?
이어 지난 10여년간의 '가족성 선천성 단기 수면(FNSS)' 특성을 가진 사람들을 연구해왔습니다. FNSS는 수면 패턴의 유전적 변이로 수면과 각성 (SLEEP -WAKE) 시간과 수면의 양이 보통 사람과 다른 유전 형질을 말합니다. 이런 유전자를 가진 사람들은 하루 4~6시간만 자고도 낮에 정상적으로 활동이 가능하다는 것이었습니다.
이에 반해 뇌 신경학적으로 수면 부족이 많은 사람들에게 신경 퇴행을 촉진시킨다고 알려져 있었으나, 함께 연구에 참여한 뇌 신경학자인 푸잉후이 박사는 'FNSS 유전자를 가진 사람은 효율적인 수면 능력 덕에 신경 퇴행 질환을 피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이에 따른 실험과 검증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연구팀은 생쥐 모델 실험에서 FNSS 유전자의 연관성을 확인했습니다. 알츠하이머병 유전자를 가진 생쥐에게 FNSS 유전자가 생기자 뇌에 치매 특징 단백질이 훨씬 덜 생기게 된 특징이 있었습니다. 이와 같은 생쥐 실험을 통해 FNSS 가족의 유전자 중 '짧게 잠을 자도 수면 부족을 겪지 않게 하는' 5개의 유전자를 확인하였습니다.
이들의 유전자가 다른 뇌신경질환을 예방하는 데에도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이는 거의 모든 뇌 질환 환자에게서 '수면 장애'가 공통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푸잉후잉 박사는 "인간이 잠들었다가 깨는 데는 여러 뇌 영역의 원활한 공조가 필요하다"며, "이런 뇌 영역이 손상되면 수면의 질이 떨어지거나 아예 잠을 들 수 없을 것"이라 설명하였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 결과가 실제 수면 장애 치료 등에 활용되기 위해서는 시간이 더 필요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프타체크 교수는 "지금까지 우리가 발견한 유전자는 그림 맞추기 퍼즐의 조각에 불과하다. 또한 지금은 가장자리와 구석에서 조각이 들어갈 위치를 찾고 있다"라고 전했습니다.
자기 전 술 마시면 숙면한다? 잘못 알고 있는 수면 상식 3가지 / 수면 속설에 대하여 (ltnas.com)
자기 전 술 마시면 숙면한다? 잘못 알고 있는 수면 상식 3가지 / 수면 속설에 대하여
수면은 우리 몸에 굉장히 중요하다. 잠이 보약이라는 말도 있듯이 숙면을 취하고 일어난 날은 하루가 상쾌하지만 수면의 질이 좋지 않으면 다음날 쉽게 피곤하며, 집중하기 어려울 것입니다. 하
www.ltnas.com
체내에 축적되어 있는 수은 배출 방법? 수은 중독, 미나마타병이란? (ltnas.com)
체내에 축적되어 있는 수은 배출 방법? 수은 중독, 미나마타병이란?
유기 수은은 위장관으로 약 95% 흡수되며, 흡수된 이후 뇌와 신장, 간, 머리카락, 피부 등에서 무기 수은으로 전환되며 축적되어 독성을 나타냅니다. 일단 체내에 축적될 경우 천천히 여러 달에
www.ltnas.com
흔히 ADHD로 불리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 원인 증상 검사 치료 방법 (ltnas.com)
흔히 ADHD로 불리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 원인 증상 검사 치료 방법
ADHD (Attention Defit/Hyperactivity Disorder, ADHD)는 주의력 결핍/과잉행동 장애로 아동기에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지속적으로 주의력이 부족하여 산만하고 과다활동, 충동성을 보이는 상
www.ltnas.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