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염, 수면 무호흡증 이유, 치료 / 수면 질환,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 증후군이란?
수면 무호흡증이란 말 그대로 자는 동안 숨을 쉬지 않는 무호흡의 상태를 말합니다. 자는 동안 숨이 막혀 컥컥 대기도 하며, 한계점이 지나면 '푸' 하고 숨을 몰아 쉬는 모습이 관찰되기도 합니다. 10초 이상 숨을 쉬지 않는 횟수가 시간당 5번 이상이면 심각한 상태의 수면 무호흡입니다.
수면 무호흡이 생기는 이유와 위험한 이유
비만으로 인해 목 부위의 지방이 축적되는 경우와 혀, 편도 등의 조직이 비대해져 목 안의 공간이 줄어들며 상기도가 좁아져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턱이 비정상적으로 작거나 목이 짧고 굵은 사람에게 이런 증상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수면 무호흡증이 위험한 이유로는 자는 동안 산소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1차적으로 만성 피로와 졸음으로 인해 일상 생활에 어려움을 느낄 수 있으며, 2차적으로는 심혈관계 질환, 뇌졸중 질환까지 발전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실제로 정상인에 비해 발생률의 4~5배가 높기 때문에 그만큼 사망률도 높아지게 됩니다.
고혈압 환자 중 50%를 차지하는 난치성 고혈압 환자의 경우 80%가 수면 무호흡증을 앓고 있다는 결과도 있습니다만 이외에도 성인뿐만 아니라 소아 청소년에게도 많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잠을 힘들게 자면 성장이 느려지며, 주의력 결핍, 인지 능력 저하, 집중력 저하 등의 현상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조기 치료가 중요합니다.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 증후군
수면 무호흡증은 잠을 자는 동안 숨구멍 (기도)가 좁아져 떨리거나 일시적으로 숨이 막혀 수면의 질이 떨어지고 산소 공급이 부족하게 되는 현상입니다. 주로 목 안의 뒤쪽 연부 조직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상기도를 막기 때문에 발생하게 됩니다. 숨이 멎는 시간이 약 10~120초 정도로 한 번씩 자면서 20~30회 정도 발생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경우에 충분한 공기가 폐로 들어가지 못해 혈액 속의 산소 농도가 떨어지며, 뇌가 반응해 상기도 근육이 수축하고 정상 호흡으로 돌아오면서 삑-하는 소리가 나는 것입니다.
수면 무호흡증의 치료와 예방
1. 체중 감량
수면 무호흡증의 치료는 체중 감량과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 극복할 수 있습니다. 본인 체중의 10%를 줄이면 수면 무호흡증이 약 50% 감소할 수 있으며, 약한 수면 무호흡증 환자의 경우 체중만 감량해도 치료가 될 수 있습니다. 체중 감량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유산소 운동을 1시간 이상하는 것이 좋습니다.
2. 금주와 금연
그 어떤 건강 관련한 내용에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금연과 금주는 당연하게도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을 심하게 합니다. 술을 꼭 마셔야 한다면 취침 4시간 전에 마치는 것이 수면의 질을 높일 수 있습니다.
3. 약물 복용 점검
수면제 또는 안정제는 이러한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어 수면 전문의와 상의 없이 복용해서는 안 됩니다. 다른 질환으로 복용하는 약물 또한 무호흡 증상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어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4. 지속적인 상기도 양압기 사용
중등도 이상의 수면 무호흡증 환자의 경우 가장 효과적인 치료 방법은 CPAP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착용입니다. 자는 동안 실내 공기를 마스크를 통해 호흡하게 되며 압력을 가해 기도로 불어넣게 되어 무호흡 발생을 예방합니다. 치료율은 100%에 달하지만 매일 잠들기 전 착용해야 해서 불편하기도 합니다.
5. 수술로 인한 치료
수면 무호흡증에 관련한 수술은 증상을 일으키는 부위가 분명할 때 시행해야 합니다.
뇌 건강, 뇌 기능을 망치는 평소 '이 습관' 주의해야 한다 (ltnas.com)
뇌 건강, 뇌 기능을 망치는 평소 '이 습관' 주의해야 한다
만성 스트레스는 점차 뇌를 파괴하며 신경세포끼리의 정보 교환하는 시냅스를 손상시키며 뇌 기능을 저하시킵니다. 기본적으로 우리가 사는 시대가 100세 시대라고 많이들 얘기하는데 그 100세
www.ltnas.com
'눈물흘림증' 겨울철, 봄까지 이어진다면 '이 질환' 의심해야 / 눈 건강 관리법 (ltnas.com)
'눈물흘림증' 겨울철, 봄까지 이어진다면 '이 질환' 의심해야 / 눈 건강 관리법
일반적으로 겨울에 찬바람으로 인해 안구건조증이 악화되고 눈이 따갑거나 시린 증상이 발현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또한 이 글의 주제와 같이 눈물이 갑자기 흐르는 경우도 생깁니다. 이
www.ltnas.com
잇몸 관리의 중요성, '이것' 신경쓰면 심혈관 질환 낮춘다? (ltnas.com)
잇몸 관리의 중요성, '이것' 신경쓰면 심혈관 질환 낮춘다?
잇몸 관리를 통해 전 세계 사망 원인 1위인 심혈관 질환의 발생을 낮춰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최근 발표되었습니다. '제14회 잇몸의 날' 행사에서 분당 서울대병원 교수팀은 유럽 심장학회지
www.ltnas.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