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저근막염 증상, 발바닥 발뒤꿈치 통증, 원인과 치료
족저근막은 족저근이라는 종골이라고 불리는 발뒤꿈치 뼈에서 시작하여 발바닥 앞으로 5개의 발가락 기저 부위에 붙은 두껍고 강한 섬유 띠를 말합니다. 이러한 족저근막은 발의 아치를 유지하며 충격을 흡수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족저근막염의 발생 원인과 통증
앞서 언급한 족저근막은 발을 들어 올려 보행을 가능하게 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해주는데 이러한 족저근막에 반복적인 미세한 손상으로 인해 근막을 구성하고 있는 콜라겐의 변성이 유발되며 또 이것으로 인하여 염증이 발생한 것을 족저근막염이라고 합니다. 족저근막염의 대표적인 통증으로는 발뒤꿈치 통증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족저근막염의 원인 중 선천적으로 잘 나타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구조적으로 발바닥의 아치가 정상보다 낮은 평발을 가지고 있거나 편평족, 아치가 정상보다 높은 요족 (cavus) 변형이 있는 경우 족저근막염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또한 다리의 길이 차이나 발의 과도한 회전과 변형, 하퇴부 근육의 구축 또는 약화 등이 있는 경우에도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건강'과 관련된 글
- 어지러움을 유발하는 이석증 증상, 치료법, 원인, 약
- 봄이면 찾아오는 춘곤증, 춘곤증이 아니라 이 '질환' 일수도, 춘곤증과 비슷한 증상인 이 '질환'
- 뇌 건강, 뇌 기능을 망치는 평소 '이 습관' 주의해야 한다
족저근막의 발뒤꿈치 뼈에 부착 부위에 뼈 조각이 튀어나온 사람들이 가끔 있는데 이런 경우 중 일부에서 족저근막염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해부학적 이상이 있어서 발생하는 경우보다는 발의 무리한 사용이 대부분의 원이인이 됩니다. 이 말인 즉, 평소에 운동을 하지 않던 사람이 무리하게 갑자기 많은 양의 운동을 하거나 장거리 마라톤 또는 조깅을 한 경우 또는 바닥이 딱딱한 장소에서 발바닥에 충격, 무리가 갈 수 있는 운동을 하거나 또는 과체중, 오래 서 있기, 딱딱하거나 쿠션이 없는 구두 또는 굽이 높은 신발의 장시간 착용 등에 의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앞서 언급한 이런 경우는 족저근막에 비정상적인 부하가 가해지는 조건에서 족저근막염이 발생하는 경우가 자주 있습니다. 그 방에 당뇨, 관절염 환자 중 족저근막염이 동반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족저근막염의 증상
'건강'과 관련된 글
- 대상포진의 증상과 원인, 치료시 주의사항 특히 면역력이 낮아지는 노년층 주의
- 4시간 자고 생활하는 사람의 비밀, 일반인과 다른 '이것'은?
- 흔히 ADHD로 불리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 원인 증상 검사 치료 방법
족저근막염의 전형적인 증상은 아침에 일어나 처음 발을 디딜 때 느껴지는 심각한 통증이 대표적입니다. 하지만 모두 같은 증상을 겪는 것은 아닙니다. 대부분의 통증은 주로 발꿈치 안 쪽에 발생하는 경우이며, 발뒤꿈치 뼈 전내측 결절 부위를 누르면 통증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발가락을 발등 쪽으로 올리면 족저근막염의 통증이 심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특히 가만히 있을 때에는 통증이 발생하지 않다가 움직이기 시작하면 통증이 발생하며, 통증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서 있을 때 뻣뻣한 느낌이 지속되며 하루 일과가 끝나는 시간이 가까울수록 족저근막염 통증이 심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족저근막염의 치료
족저근막염의 원인으로는 이미 앞서 언급하였으니 이러한 원인을 제거하도록 해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굽이 낮은 편한 신발 착용 및 잘못되고 무리한 운동 지양해야 합니다. 수술적 치료도 있고, 주사 요법도 있으나 증상이 심하지 않다면 스테로이드성 주사는 안 맞는 게 좋습니다. 스테로이드성 주사는 부작용도 많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으며, 부종이 동반된 급성기의 족저근막염의 경우에는 효과가 있으나 장기간 사용할 경우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간혹 족저근막염으로 병원에 방문하는 경우 주사를 놓는 경우가 있는데 전문의에게 어떤 주사인지 확인해봐야 합니다.
<업데이트 날짜 : 2022년 9월 19일>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