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어지러움을 유발하는 이석증 증상, 치료법, 원인, 약

ギñテペ 2022. 3. 9.
반응형

이석증은 주변이 빙글빙글 도는 듯한 심한 어지러움이 수 초에서 1분 정도 지속되다가 저절로 좋아지는 일이 반복되는 증상입니다. 이석증의 가장 큰 특징으로는 발작성 어지러움이 나타나 어지러운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석증

이석증의 원인과 증상

이석증의 본래 이름인 '양성발작성 체위성 현훈'에 대해서 설명해보자면, 양성이란 심각한 귓병 또는 뇌질환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어지러움증이 발생하는 것을 뜻하며, 발작성이란 갑자기 증상이 발생하고 또 저절로 좋아지는 현상이 반복되는 것을 말하며, 체위성이란 증상으로 인해 체위(자세)가 영향을 받는다는 의미입니다.

 

이석증의 대표적 증상인 어지럼증은 귓속 깊은 반고리관이라는 구조물 내부에 이석이라는 물질이 흘러 다녀서 발생합니다. 반고리관은 사람이 어떤 자세를 취하고 있는지를 알려줌으로써 균형을 잡을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구조물이며, 이 구조물의 모양은 관처럼 생겼으며, 내부에 액체가 존재합니다.

 

반고리관 주변에 위치하여 신체 균형 유지에 관여를 하는 물질인데 어떠한 이유로 인해 이석이 원래 자리에서 떨어져 나와 반고리관 내부 액체 속에 흘러 다니거나 붙어있게 되면, 자세를 느끼는 신경을 과도하게 자극하여 주위가 돌아가는듯한 느낌을 받게 됩니다.

 

'건강'과 관련된 글

 

이석이 원래 자리에 위치하지 않고 떨어져 나와 돌아다니는 이유에 대해서는 확실하게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종종 외부의 충격 또는 골밀도 감소, 약물 부작용, 바이러스의 감염 등으로 인해 이석증이 유발되기도 합니다. 또한 이석증은 나이를 가리지 않고 모든 나이대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40~50대 이후에 더 잘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증상으로는 어지러움을 느끼는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적게는 경미한 수준부터 공포감을 불러일으킬 정도까지 다양한 편입니다. 회전하는 느낌을 심하게 받아 놀이기구를 타는 느낌과 비슷하며 심한 경우에도 보통 1분 내에 증상 발현이 멈추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이 어지럼증은 전조증상 없이 갑자기 발생하는 게 일반적이며, 머리 움직임과 큰 관련이 있기 때문에 아침에 잠자리에서 일어서거나 돌아 누울 때도 발생합니다. 전반적으로 머리를 움직일 때마다 발생하기 때문에 서서 머리를 움직인다면 균형을 잡기 어려워 일어서지 못하거나 쓰러질 수 있습니다. 어지럼이 멈춘 이후에도 머리가 무겁게 느껴지거나 메스꺼운 느낌이 한동안 지속될 수 있습니다.

 

이석증의 진단과 치료

먼저 전문의의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석증 증상이 맞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진단을 통해 중이염 소견이 없는지 알아봐야 합니다. 필요한 경우 신체 기능 및 균형을 잡는 기능에 이상이 있는지 확인해볼 필요도 있습니다.

 

'건강'과 관련된 글

 

이석증은 아무런 치료 없이도 금방 호전되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후유증이 남는 경우도 거의 없습니다. 다만 진단 받고 치료가 빨리 끝나면 어지럼 증상이 즉시 좋아지는 경우가 많아 적절한 시기에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석증의 자가 치료는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비인후과에 방문하여 전문의에게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다른 심각한 질병에 의해 어지럼증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어지럼이 심하다면 이석증 외의 질병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이석증 치료를 위한 약물 치료는 사실상 근본적인 치료법은 아닙니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 심각한 경우 증상의 경감을 위하여 보조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석증은 저절로 호전되는 경우도 많이 발생하고 치료를 잘 받으면 치유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재발되는 경우 또한 흔합니다. 비슷한 증상이 재발하는 경우 진찰을 받고 물리치료를 통해 재발된 이석증도 금방 치유가 가능합니다. 

 

 

(88) 이석증 - 증상이 애매할 때, 간단하게 자가진단 할 수 있는 방법

 

반응형

댓글